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호사카 유지' 교수 190406 대화의 희열 2 독도, 일본군 '위안부', 일본이 인정하지 않는 이유, 양국의 시민과 시민 더보기 What the Health (Documentary) /다큐 영상/ 더보기 겸손 법륜 스님이 말씀하시는 겸손 시기 질투로 미워하는 자에게는, 더보기 협상가의 권리장전 제1조 나에게는 상대방의 말을 못 알아들을 권리가 있다. 제2조 나에게는 협상 중 실수할 권리가 있다. 제3조 나에게는 우유부단하게 행동할 권리가 있다. 제4조 나에게는 똑같은 말을 반복할 권리가 있다. 제5조 나에게는 상대방의 질문에 답하지 않을 권리도 있고, 질문에 대한 답을 모를 권리도 있다. 제6조 나에게는 나만의 의견을 가질 권리와 억지를 부릴 권리가 있다. 제7조 나에게는 상대방으로부터 나쁜 사람이라는 소리를 들어도 괜찮을 권리가 있다. 제8조 나에게는 내 자신의 우월성을 인정할 권리가 있다. 더보기 양자 역학 101, ⑦ 양자 컴퓨터 (양자 역학의 활용) "양자 역학, 오묘한 너란 녀석!"을 나눠 포스팅하는 겁니다. 양자 역학의 활용이해하기 난해하지만, 중첩 상태와 양자 얽힘 현상을 이용해 거시 세계에서 놀라운 활용이 가능하다. - 양자 암호화양자 암호화를 통해 서로 비밀 메세지를 보낼 때, 누군가 가로채려고 하면 바로 암호가 교란되어 바뀐다. 양자 역학에서는 측정하는 순간, 측정 때문에 대상이 바뀌게 되므로 복제가 불가능하다. - 양자 컴퓨터(양자 컴퓨팅)양자의 중첩과 얽힘 때문에 양자 컴퓨터가 일반 PC보다 엄청난 속도로 일 처리를 할 수 있다. 아직 상용화되지 않았지만 머지않은 미래에 양자 컴퓨팅이 가능해진다면 암호를 해독하든, 무엇을 하든 처리 속도는 어마어마하게 빨라질 것이다. 구글은 지난 5월 네이처 기고문을 통해 ‘하이브리드’ 방식 양자컴퓨터.. 더보기 양자 역학 101, ⑥ 양자 얽힘 현상 "양자 역학, 오묘한 너란 녀석!"을 나눠 포스팅하는 겁니다. 양자 얽힘(entanglement)양자 얽힘은 아인슈타인이 양자 역학을 공격하면서 발견된 성질이다. 하나의 입자가 붕괴하여 두 개의 입자로 분리된 상황에서 하나를 측정하여 스핀이 확인되는 순간 다른 하나도 결정된다는 것이다. 위 이미지와 같이 두 아원자 입자들은 중첩 상태에서 서로 얽혀있고, 거기서 한 입자가 한 방향으로 회전을 결정하면 다른 하나는 반드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얽힘의 법칙을 따르기 위해 한 입자가 다른 입자에게 어떤 방향으로 회전하라는 정보를 보내지 않는데도 말이다. 얽힘은 두 입자가 공간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어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관계가 비(非)국소적’이다. 슈뢰딩거는 이런 괴상한 양자 역학적 상호관계를 ‘.. 더보기 양자 역학 101, ⑤ 결맞음과 결어긋남 "양자 역학, 오묘한 너란 녀석!"을 나눠 포스팅하는 겁니다. 결맞음(coherent)과 결어긋남/결잃음(decoherent)앞서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에서, 겁나 너그럽게 생각해서 고양이마저도 미시 세계의 것이라고 가정해 보자. 그래도!!! 논논노!!! '우리 입장'에서는 상자 안을 확인하기 전까지 중첩 상태가 있다고 말할 수 있지만, '고양이 입장'에서는 절대 중첩 상태가 없다. 고양이가 이미 상자 안에서 원자를 관측(고양이가 원자와 상호작용)했기 때문에 고양이의 파동함수가 붕괴되어 중첩 상태일 수 없다는 말이다. 고양이의 관측으로 원자가 A 상태로 귀결되면 고양이는 죽을 것이고, 원자가 B 상태로 귀결되면 살 것이다. 즉, 코펜하겐 해석이 말하는 외부의 관찰 행위(우리가 상자를 열고 관측하는 것) .. 더보기 양자 역학 101, ④ 슈뢰딩거의 고양이와 관찰자 효과 "양자 역학, 오묘한 너란 녀석!"을 나눠 포스팅하는 겁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코펜하겐 해석은 우리가 사는 거시 세계가 아닌 미시 세계에서만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에르빈 슈뢰딩거가 이에 반기를 든다. 양자 물리학은 거시 세계, 미시 세계를 포괄하는 모든 세계에 대한 이론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슈뢰딩거는 거시 세계와 미시 세계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슈뢰딩거의 고양이 실험을 한다. ('생각' 실험이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바깥에선 안을 볼 수 없는 상자에 갇힌 고양이다. 이 상자 안에는 독극물 병, 원자 검출기, 그리고 원자 하나가 들어있다. 양자 역학에서 원자는 A 상태이면서 B 상태인 중첩 상태이다. 이때 A 상태에 있으면 검출기가 작동되어 독극물 병이 깨지고 B .. 더보기 이전 1 2 다음